1. What is DRAM?
의미 : Dynamic Ramdom Access Memory
- Dynamic : 저장된 data가 전원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됨을 의미 <-> Static
- Random : 읽고 쓰기가 모두 가능
- Access : 접근
- Memory : 저장요소
특징으로는 1. 작은 cell size 2. need 고감도의 SA(Sense Amp) 3. Refresh 동작 필요
DRAM의 Architecture는 [cell], [core], [peripheral]로 나뉘게 되는데,
cell 파트는 약 전체 면적의 55% 정도를 차지하고 data storage를 수행한다. core는 약 30% 정도를 차지하고 data restoring을 수행하고, 나머지 peripheral의 경우 15% 정도를 차지하고 control logic, IO interface 등을 담당한다.
DRAM 동작
DRAM에는 bit line과 word line이라는 선이 연결 되어 있습니다.
- word line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메모리 셀 하나를 쓸지 안 쓸지 사용 여부를 결정합니다. (게이트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)
- bit line은 소스, 드레인에 연결되며 이 메모리에 저장될 값을 정해주는 역할을 합니다. 더불어 저장된 메모리가 1인지 0인지 값을 확인하는 역할 또한 bit line이 수행합니다.
- Row Active : 임의의 Cell 선택을 위해 Access할 WL를 Enable하는 것을 Row Address로 선택
- Command(Read/Write) : 선택된 WL에 연결된 cell 중에서 Columnn Address로 CSL 선택
- Pre-Charge : row에서 다른 row로 넘어갈 때 well function하기 위해서 다른 row는 close를 해야합니다. 이 때 사용하는 것이 Precharge로, command 후 WL을 disable 시켜 입/출력된 date를 저장하고 develop BL을 1/2Vcca로 precharge합니다.
- Refresh : data를 작성하고 일정시간 냅두면 leakage current에 의해 data 소멸이 발생한다. 이를 방지하기 위해 refresh를 통해서 data를 보전합니다.
DRAM의 Read/Write에 대해 소개를 해보면,
o Write
오른쪽 상단의 DRAM구조를 보면 Cc와 Cb cap이 존재하는데, Cc보다 Cb의 용량이 큽니다.
이를 이용해서 Read/Write를 수행하는데,
"1"을 작성하는 경우 : Cc의 용량이 커서 Cb에 전압이 넘어가는데 이 채워지는 과정을 통해 Write "1"이 됩니다.
"0"을 작성하는 경우 : Cb의 "1" data가 비어있는데 Cb로 넘어가면서 비워지게 되고 이를 통해 Write "0"이 됩니다.
o Read
Write와 비슷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Cb의 전압 증/감에 따라 "1", "0"을 구분하게 됩니다.
Leakage Current of DRAM
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DRAM에는 leakage current가 존재하게 되는데, 대표적으로 5가지가 있다.
- Cell Capacitor Dielectric Leakage
- Cell Tr. Off-leakge
- Gate Induced Drain Leakage
- Cell Junction Leakage
- STI Interface States Generation Leakage (우주방사능)
이런 이유들로 인해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, 이를 막기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Refresh 동작이다.
출처 :
www.edaboard.com/threads/difference-between-precharge-and-refresh-in-sdrams.83193/
DIFFERENCE between PRECHARGE and REFRESH in SDRAMs..........
functionality of precharge (pre) command can anyone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............. PRECHARGE and REFRESH in SDRAMs thanks
www.edaboard.com
'Electronic_Engineering > Electric Circu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반도체] ReRAM 알아보기 (RRAM) (3) | 2021.01.08 |
---|---|
[반도체] SRAM 알아보기 (6) | 2020.12.29 |
최근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