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이번 경진대회 검사 미션 중 하나로 부팅 후 자동 시작 부분이 있어서 찾아보게 된 부분입니다. 까먹지 않기 위해서 기록을 위해 포스팅합니다.

리눅스이 크게 데비안, Red hat으로 나뉘어 진다고 알고 있는데 데비안 계열에 해당하는 스크립트 방법입니다.

 


부팅 시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방법

$ cd /etc/init.d

$ vi start.sh

구글링을 통해 찾아봤는데  /etc/rc.d/init.d 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있는데, 우리 보드의 경우 바로 etc에서 init.d 위치에서 설정을 해야했다. (환경마다 다른듯, 또는 버전)

start.sh 라는 파일에 mkdir 명령어를 이용해 FINN이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하도록 명령어를 작성합니다.

#!/bin/sh

mkidr /home/finn

--> 1줄의 #!/bin/sh는 sh 형식으로 스크립트(.sh)를 실행하겠다는 뜻입니다. (bash는 #!/bin/bash)

 

이제 이 명령어는 부팅시 /home디렉토리에 finn이라는 디렉토리를 생성 할 것인데, 부팅시 실행이 가능하도록 권한을 755로 변경 시켜줍니다. (chmod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linux 게시글에 있습니다.)

$ chmod 755 start.sh

 

이제 이 스크립트 권한도 올려줬으니, 스크립트가 자동 실행되도록 등록을 시켜줍니다.

$ update-rc.d start.sh defaults (숫자)

(숫자)의 경우 rc.d에서 스크립트의 실행 순서를 의미하는데,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작성안해도 상관은 없습니다. 

더 나아가서 종료 순서까지 정해주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. 원하는 종료 순서는 2 번째이다.

$ update-rc.d start.sh defaults 98 02

 

이렇게 설정하면 부팅 후 시작할 때 설정해놓은 스크립트가 자동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!!

mkdir로 테스트를 해보고 그 다음 실행 할 파일이 있으면 ./ 등으로 설정해주면 됩니다.

 

Reference : wiki.debianusers.or.kr/index.php?title=Update-rc.d

 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